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ISA 계좌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의 약자로 주식, 펀드, 예금 등을 운용 가능한 절세계좌입니다.
보통 절세계좌는 IRP와 연금저축계좌로 많이 하시고 연말정산 혜택도 받으시는데 아직 ISA 계좌에 대해 잘 모르시고 안 하시는 경우가 많으신 것 같아서 ISA 계좌 관련해서 많이 궁금해하시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연금저축과 가장 차이나는 부분은 연금 저축의 경우 언제 목돈을 사용할지 몰라서 가입하기 꺼려하시지만 ISA는 최소 3년을 유지하면 어떠한 불이익 없이 해지가 가능하며, 그전에 목돈이 필요시 납입 원금에 대해서 인출도 가능합니다.
그럼, 자세한 내용은 아래 질의응답식으로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ISA 계좌는 누가 만들 수 있나요?
> 만 19세 이상 거주자, 소득이 있는 만 15세 이상 청년도 가능하며 1인 1 계좌만 만들 수 있어요.
2. ISA 계좌 서민형과 일반형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 비과세 한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형은 200만 원까지 비과세, 서민형은 400만 원까지 비과세 적용을 받습니다.
3. ISA 계좌 서민형은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
> 총 급여 5천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인 사람만 가능합니다.
4. 중개형 ISA 계좌는 무언인가요?
> 증권사에서 개설이 가능하며 국내 주식에 직접 투자도 가능하고 상품이 다양해서 중개형 ISA 계좌를 권장드립니다.
5. ISA 계좌에서 투자 가능한 상품은 어떤 게 있나요?
> 예금, 펀드, ETF, 리츠, 채권 및 중개형은 국내 주식도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론 국내상장 미국 ETF를 권장드리며 확인결과 연금저축에서 불가한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 상품도 거래가능합니다.
6. 해외 ETF 투자가 가능한가요?
> 직접 투자는 불가능 하지만 국내 상장된 해외 ETF 투자가 가능합니다.



7. 연간 납입 한도가 얼마인가요?
> 연 2,0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5년간 이천만 원으로 총 일억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
연간 부족한 금액은 내년으로 이월돼서 추가 납입도 가능합니다.
8. 비과세 한도가 세전 기준인가요?
> 세전 기준이며 서민형 400만 원, 일반형 2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9. 투자 수익이 비과세 한도를 넘으면 어떻게 되나요?
> 초과 수익금에 대해서 9.9% 분리과세 합니다. 국내상장 해외 ETF의 경우 일반계좌의 경우 15.4%가 원천징수 되니까 추가 절세효과가 있습니다.
10. 배당, 이자, 매매차익은 따로 계산되나요?
> 모두 합산해서 순수익으로 계산됩니다.
11. 손실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 손실만 있으면 세금은 없습니다. 종목을 교체하거나 운용기간을 늘려서 수익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12. 세금은 언제 부과되나요?
> 만기 또는 해지 시점에 한 번만 과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세이연의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과세이연이란 지금 당장 세금을 내지 않고 해지 시에 정산하기 때문에 아직 납부하지 않은 금액도 투자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13. 만기 시 연금계좌로 옮길 수 있어요?
> 만기 시 연금저축 계좌로 옮기면 추가로 300만 원 세액공제를 받아 연말정산 혜택 받는 금액이 증가합니다.
일부는 연금저축에 넣고 일부는 일반계좌로 옮기는 방법도 가능하며 보통 일반계좌로 옮긴 금액은 다시 ISA 계좌를 개설해서 운용합니다. 만기 시 연간 한도가 정해진 연금계좌로 추가 목돈을 넣을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14. ISA 계좌는 몇 년간 유지 가능한가요?
> 기본 3년이며 5년 만기입니다. 하지만 9999년까지 연장도 가능하니 무한대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다만, 직장인이 수익금액이 3,400만 원이 넘어가면 건보료 인상이 되기 때문에 적절한 만기 시점을 잡아서 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5. 해지 후 재가입이 가능한가요?
> 기존 계좌 해지 후 재가입 가능합니다.
16. 리밸런싱은 자유롭게 할 수 있나요?
> 어떠한 제약도 없습니다.
17. 수익에 대해서 연말정산 신고가 필요한가요?
> 필요 없습니다. 금융기관에서 알아서 처리해 줘요.
18. 손실이 발생한 일반계좌와 상계처리가 가능한가요?
> ISA 계좌 내에서만 수익과 손실 상계처리가 가능합니다. 일반계좌는 안됩니다.
19. ISA 계좌에 납입을 안 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 없습니다. 이월도 가능하니 우선 ISA 계좌를 만들어 놓으시고 천천히 운용하시면 됩니다.



20. ISA 계좌는 상속이나 증여가 가능한가요?
> 상속 가능하며 증여는 불가합니다. 상속 시 과세기준은 별도로 적용됩니다.
21. 어떤 투자를 권장하나요?
> 국내상장 해외 ETF를 추천드리며 배당이 없는 국내주식은 일반계좌도 세금이 없어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자기계발(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해지하면 건강보험료가 인상될까요? (2) | 2025.08.21 |
---|---|
FOMC 2025년 전체 일정 (2) | 2025.08.11 |
DC형 퇴직연금 운용사 증권사 추가하여 이전하는 방법 (0) | 2025.07.29 |
기업은행 DC 퇴직연금 ETF 리스트 업데이트 146종목 (1) | 2025.06.13 |
2025년 소방계획서 개정 양식 및 작성방법(특수용도) (4) | 2025.05.03 |